자동차뉴스

자동차 급발진 조심

딜앤딜 2022. 3. 22. 15:43

자동차 급발진 사고, 뉴스에도 많이 나오는 이슈죠? 정말 말그대로 '급발진'이니 무방비 상태에서 당할 수 있는 일입니다. 하지만 차가 급발진한 상태에서 어떻게 대처를 해야하는지 알고있다면 큰 사고는 예방할 수 있을거에요!

자동차 급발진은 가속페달 또는 자동 변속기를 조작한 행위가 없음에도 자동차가 스스로 급 가속을 하는 현상인데요. 급발진 사고가 발생했을 때 운전자와 탑승한 사람 모두 큰 상해를 입는 경우가 아주 많습니다. 또 차량의 파손 피해도 어마어마하죠.

자동차 급발진 사고가 왜 발생하는가에 대해 정확하게 밝혀진 점은 없기 때문에 급발진 사고가 일어날 때 운전자 잘못이다! 제조사의 잘못이다! 로 아직까지 분쟁을 겪는일이 허다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급발진 사고를 운전자의 실수이거나 운전 미숙으로 인정하는경우가 많기 때문에 자동차의 결함으로 급발진이 된것이다 라고 인정한 사례는 적습니다. 그렇다면 자동차 급발진에 대해 대처방법이라도 제대로 숙지해서 혹여 내 차가 주행중에 급발진을 하더라도 어떻게 대처해야하는지 잘 알아두면 좋겠죠?

첫번째, 밟고 있던 엑셀 페달에서 발을 재빨리 뗀 뒤 브레이크 패달을 한 번에 꾹 밟아주세요. 당황해서 여러번 브레이크를 나눠 밟게 되면 오히려 브레이크 압력이 잘 전달되지 않아 무력화 되기 때문에 브레이크를 한번에 꾹 밟아주셔야 합니다.

브레이크를 힘껏 밟았다면, 재빠르게 기어를 중립으로 바꿔주셔야 합니다. 기어를 중립으로 바꿔 자동차 의 동력을 차단시켜줘야 하기 때문입니다. 만약 기어를 주차(P)에 두게 되면 핸들이 잠겨버려 더 위험할 수 있으니 반드시 기어를 중립에 위치 시켜 주셔야 합니다

차의 속도가 조금 줄어든 상태라면 주차 브레이크로 최대한 속도를 낮춰 정지시켜야 합니다. 만약 차의 속도를 줄이지 않은 상태에서 주차 브레이크를 급하게 당겨 채울시 자동차가 균형을 잃고 회전할 수 있기 때문에 주차 브레이크는 반드시 속도가 줄어든 상황에서 2~3번에 나누어서 서서히 올려주세요.

차가 완전히 정지됐다면 시동을 꺼주세요. 차가 완전히 정차하기 전이라면 핸들이 잠겨버려 위험할 수 있 으니 시동키를 이용하는 차량은 ACC ON 상태로 돌려 차량 시동을 꺼주셔야 합니다.

극단적 방법이기는 하지만 자동차 전문가들의 의견도 주변의 자동차나 장애물을 피해 계속 주행이 될 경우 겉잡을 수 없는 가속이 생기기 때문에 차라리 빠르게 비슷한 크기의 자동차에 충돌하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자동차의 트렁크와 엔진룸을 이용하게 되면 에너지의 절반이 분산되고 큰 피해를 줄일 수 있다 는 것 입니다. 또 벽이나 장애물에 빨리 부딪히는 것이 더 큰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고 합니다.


자동차 급발진 예방법

주행 중 운전석 바닥 매트에 가속 페달이나 브레이크가 걸려 있는 경우 주행 중 방해가 될 수 있기에 매트는 항상 정돈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합니다. 또한 가속 페달이나 브레이크는 변형을 시키거나 변형되지 않도록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시동을 걸 때는 계기판에 엔진 체크 등이 점멸된 것을 확인한 후 걸어야 하며, 시동을 끌 때는 기어를 반드시 P(주차)에 두고 끄도록 합니다. 주행 중 운전하기 편한 신발을 신는 것도 운전 미숙이나 실수로 인한 자동차 급발진을 예방할 수 있으며, 가급적 큰 신발은 신지 않도록 합니다.


급발진 사고는 나에게도 일어날 수 있는 일이기 때문에, 반드시 대처 방법에 대해 숙지하고 있는 것이 중요하겠습니다. 내 안전을 지키는 것이 가장 중요하기 때문에 사고 발생 시 당황하지 않고 급발진 사고임을 인지하고 대처하도록 해야 합니다. 오늘 알려드린 대처 방법과 예방 습관들 잘 읽어보시고 꼭 숙지하시어 혹시 모를 안전사고에 대비하셨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