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세대 파워트레인 무엇이 될 것인가?
자동차 시장에서 디젤을 필두로 순수 내연기관의 퇴출이 가속화되고 있는 와중에 정부에선 전기차 및 수소차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디젤,가솔린등 내연기관차들도 전동화 추세를 빠르게 따라가고 있는데요
"모터그래프"에서는 향후 5년간 자동차 시장의 대세를 이룰 차세대 파워트레인이 무엇일지 독자들에게 설문을 진행했다고 합니다! 이번 설문은 1만8,131명이 참여하여 흥미진진한 결과를 보여주었는데요~
설문5위는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6.4%)가 차지했으며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은 주중에 짧은 출퇴근길에 전기차처럼 이용하고 장거리 운행시에는 하이브리드차량처럼 활용할 수 있어 가장 현실적인 친환경차로 꼽혔다고 합니다. 내연기관과 함께 어느 한정적인 배터리 및 하이브리드 시스템이 탑재되어 있어 제조원가가 높고 실내공간이 좁은 단점, 또 다른 친환경차에 비해 보조금이 제한적인점이 큰 단점도 있죠 개인적으로는 배터리 용량에 대해도 아쉬운 점이 있습니다
이어 10.5%의 선택을 받은 수소차는 산소와 수소를 대기중 반응시켜 전기로 차를 움직이는 시스템입니다. 대기오염물질을 필터로 거른다는 점등으로 대표적인 친환경차로 꼽히는데요! 전기차에비해서 짧은 충전시간과 주행거리가 비교적 길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가격이 비싸고 !! 전기차보다 수소 충전할 수 있는 충전 인프라가 현저히 너무 적다는 점이 단점이네요
내연기관차량은 21.4%의 선택을 받았는데요 차후에는 친환경차들의 비중이 더 커지겠지만 가까운 5년내에 미래에는가솔린,디젤등을 비롯한 내연기관차들이 아직 대부분일것이라는 말이 많습니다. 디젤차 판매는 급감했지만 가솔린차가 상당 부분 그 빈자리를 채우기도 했죠. 연비로 따지면 디젤차가 참 좋은데..아무래도 5년내에는 내연기관에서 친환경차로 대세가 꺾이기에는 짧은 시간이기도 할 것 같습니다.
연비좋은 현실적 대안의 하이브리드
vs
주행거리가 길어진 전기차
하이브리드와 전기차의 빅매치! 하이브리드 (30.9%) 전기차(30.8%)를 기록하였는데요. 반도체 수급문제로 생산제한에도 불구하고 두 종류의 차종모두자동차시장에서는 빠르게 점유율을 늘리고 있습니다. 10년뒤에는 전기차가 대세이겠지만 그 전까지는 하이브리드가 대세가 될 가능성이 커보인다는 의견도 많은데요
제 주변에서는 아직 전기차는 하이브리드,내연기관차량에 비해서 비판적인 소리가 많은데 전기차 보조금이없을시 전기차를 구매하는데 턱없이 높은 가격과충전 인프라를 고려해야한다는 의견이 대부분입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갈수록 자동차 배출가스등 환경 규제가 강화되면서 친환경차에 대한 수요와 판매가 늘어가고 있는데 현재 내연기관가 전기차가 공존하는 과도기 시점에서 하이브리드가 아무래도 좋은 해결책이 되어주지 않나 싶네요 ^^ 경제적인 여유와 충전 환경을 충분히 감수할수만 있다면 EV차량도 좋을 것 같습니다 !
내차 팔 때 딜앤딜
내차 살 때 딜앤딜
-
차량판매 및 구매의 최종점
-
내차 최고가 판매하기
리스 렌트카 위탁승계
신차 최저가 구매하기
▼
딜앤딜 무료 차량 컨설팅
딜앤딜
내차 팔때 딜앤딜 ! 내차 살때 딜앤딜 ! 차량구매 및 판매의 최종점 1577-7571
pf.kakao.com